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ill of Lading
- 기준정보
- Importer Security Filing
- 컨테이너
- 사전수입신고
- Best Practices
- UN/LOCODE
- 조달물류
- 물류용어
- UNLOCODE
- 칭다오
- TCR
- TMR
- 판매물류
- B/L
- RFS
- 통관
- IATA
- ISF
- TSR
- Container
- logistics
- Port코드
- 수출입
- 지역코드
- RFID
- 선하증권
- 물류
- CBP
- CNTR
- Today
- Total
목록용어정의 (14)
Beyond the logistics
UN/LOCODE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관련 포스팅 먼저 보시구요~ 2009/10/05 - [용어정의] - UN/LOCODE 2009-1 version release 2007/06/04 - [용어정의] - 지역코드 UNLOCODE... 코드 찾는 링크도 변경되었습니다. http://live.unece.org/cefact/locode/service/location.html 실은 해당 버전이 작년 12월에 릴리즈 되었습니다만 최근 웹사이트 리뉴얼을 했는지 기존 링크가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업데이트 하는 차원에서 포스팅하였습니다. 웹사이트 속도가 좀 더 빨라진것 같네요~ ^^; - 끝 -
관련 자료를 정리하던 도중 접속해봤는데 어느새 UN/LOCODE 2009-1 버전이 릴리즈 되었네요. (언제 된건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UN/LOCODE 관련 설명 기존버전이 2007-1이였는데 2008년에는 별도 릴리즈가 없었습니다. 2009-1 버전을 현재 운영시스템에 어떻게 반영해야할지 갑자기 고민되네요. 242개국 71,600개 Location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2007년 버전의 UN/LOCODE 개수를 보니 59,118개로 나오는데 만개이상 늘었네요. 분명 제가 자체 채번한 지역이 포함이 되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엑셀 2003버전으로도 오픈하긴 어렵겠네요. 라인수가 65000라인이 넘어가서~ ㅠ_ㅠ 나중에 시간 있을때 어떻게 2007버전+자체생성코드를 마이그레이션 할지..
공식적인 48ft, 53ft Container에 대한 코드는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M2GP", "P2GP"로 사용하려 합니다. 이 포스팅이 시작된 계기는 이렇습니다. 북미쪽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53ft 컨테이너 코드를 채번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업무상 기준코드를 채번해야하므로 근거없이 채번하는 것은 스스로 용납가 안되어 어떤 코드로 따야할지 근거를 열심히 뒤져봤습니다.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45ft가 가장 컸나봅니다. 컨테이너 코드에 관해서는 지난번 Container ISO code 포스팅했었죠. 그런데 위키피디아를 참조해보니 2007년 11월부터 부터 48ft, 53ft가 국제적으로 사용된다고 언급되어 있네요. '08년 4월 APL 컨테이너社에서 미국에서 사용될 Truck, Rai..
화물(貨物)을 하물(荷物)이라고 쓰는 것도 마찬가지로 일본 표현입니다. 일본에서는 화물을 "니모츠(荷物)"라고 쓰는데 그 한자표기를 우리식으로 읽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즉, 일본말로 혼동이 되는 문제인데 실제 현장에서는 여전히 하주로 부르기 때문에 혼란스러운 것 같습니다. 아래는 물류신문에서 언급된 화주와 하주의 차이점을 옮겨 담았습니다. ‘하주(荷主)’ :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해 꾸려 놓은 물건인 하물(荷物)의 주인을 일컫음. (일본에서 건너옴) ‘화주(貨主)’ : 운반할 수 있는 유형의 재화나 물품을 통틀어 이르는 화물(貨物)의 임자를 가리킴. 북한에서는 ‘짐주인’으로 부르는데 어쨌든 개념상 ‘하주’보다는 ‘화주’의 폭이 더 넓은 셈이다. 해운, 항만하역, 포워딩 업계에서는 아직 ‘하주’라는 단어를..
블로그에 포스팅한지도 무척 시간이 지난 것 같습니다. 간단한 지식이나 용어정리하기 위해 꾸준히 포스팅해보려 했으나 역시나 쉽지 않은 일인것 같습니다. Port 코드에 대한 잡담 현재 제가 하는 일은 삼성전자에서 Global ERP T/F의 물류부분을 담당하고 있어 프로세스에 대한 시스템 반영도 관여하기도 하지만 유일하게 혼자 하는 일중 하나가 기준정보를 통제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누차 말씀드리지만 기준정보라는게 사실 티가 않나는 정보이지만 각 Transaction 정보가 누적되면서 데이터가 정보로 변할 때 대단히 중요한 키값으로 사용되므로 초기 기준정보 정의 및 추가 등 관리에 대해 많이 신경을 써야 합니다. 실제 Port 코드에 대해서도 제가 통제하고 있는데 업무 담당자들이 지명을 제대로 모르거나..
Risk Pooling의 4가지 종류 1) Location Pooling - 개요 : 기존에는 DC에서 여러개 Sector로 이동하나 여러 Sector를 한곳으로 모음 - 강점 : 불확실성 줄임. 통계적으로 안전재고레벨을 줄일 수 있고 서비스 레벨 강화 - 단점 : 원거리 경우 Demand 대응 어려움. Virtual Pooling, Drop Shipping 어려움 예제) CDC 운영 2) Product Pooling - 개요 : 제품의 다양성은 중요하나 가능하면 최소화, 공통화하여 불확실성을 줄임 - 강점 : 수요의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일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급과 수요에 대해 좀더 좋은 Performance를 수행할 수 있음 예제) O'neill의 dive wetsuits와 surf wetsuit..
원래 物流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들어온 용어입니다. 1960년대 미국에서 일본으로 'Physical Distribution'이라는 용어가 전해졌고, 다시 우리나라로 도입되는 과정에서 물적유통이라고 번역되어 이후 물류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1. 협의의 물류와 광의의 물류에 관한 비교 설명 1) 협의의 물류 협의의 물류에 대한 개념체계는 1940년대 미국에서 처음 내려졌습니다. 물류란 "재화를 생산점으로부터 소비 또는 이용점까지 이동하고 취급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즉 협의의 물류라 함은 현재 광의의 물류, 즉 Logistics의 유통활동의 일부분에 국한되는 것이지요. 2) 광의의 물류 협의의 물류에서 한단계 확장하여 1960년대 미국에서 정의된 것으로서, 물적유통이란 "생산라인의 종단에서..

컨테이너 ISO Code 통상 해상에서 운영되는 컨테이너는 ISO 규격에 따라 운영이 됩니다. 모든 항만에서 컨테이너 트레일러가 집어내고 넣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동시 규격이 맞아야 컨테이너 트럭에 실어서 이동이 되겠지요... (당연한 거지만...) 자세한 정보는 링크를 참조하시고 간단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통상 20피트, 40피트, 40피트 하이큐빅을 많이 사용하지만 아래와 같이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컨테이너를 구분합니다. * 환산방법 " = 1 inch = 2.54cm ' = 1 foot = 12 inches = 0.3048m 1 Cubic Meter (CBM) = M3 = 1 Cubic Foot/35.3156 mm: Milli-Meter (length, width, height) kg..
[ A ] Agreement 협정 : 동맹과 같은 운임, 서비스 등에 대해서 복수의 선사가 Cartel을 행하는 조직. 동맹에 비교해카르텔의 지배력은 약하다고 하지만, 명확히 구별할 규정은 없다. ANERA Asia North America Eastbound Rate Agreement : 동남아시아, 극동~북미 운임협정. 관할 주요국은 NIES 4개국 및 중국, 타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99년 4 월말 이후 휴면 [ B ] BAF Bunker Adjustment Factor : Bunker Surcharge라고도 한다. 연비의 상승이나 하락시 부가 할증, 할인 요금 Berth Term : 선적지, 양륙지에서의 선적 및 하역비를 운송인이 부담하는 조건. 정기항로에서 는 거의 이 운임 조..
[A] ABC Air Cargo Guide ( ABC ) : 국제 항공화물 스케줄 및 운임과 기타 화물관련 정보가 수록된 월간지. ABC World Airways Guide ( ABC ) : ABC Air Cargo Guide와 자매편으로 런던의 ABC Travel Guide사에서 발행하는 월간지로 주요 내용은 각 항공사명및주소,시각표,City Code, Mileage, 운임, 노선 등이 수록되어 있음. Accessories : 어떤 물품에 있어서 없어서는 작동이 되지 않는 물건이나 반드시 있어야 하는 물건을 제외한 추가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을 가리킨다. ACL ( Allowable Cabin Load ) : 탑재허용중량으로 Payload Limit라고 부르기도 함. 항공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HS Code란? 예를 들어보죠. 노트북이 있습니다. 제조사도 다르고 모델군도 너무 많습니다. 국가에서는 통관이나 관세처리를 위해 노트북에는 관세가 얼마다라고 정의해야 합니다. 판매, 매입하는 회사가 다르다면 제품코드에 일일히 관세를 정의할 수가 없죠. 특히나 요새처럼 시스템으로 여러 작업을 하는 경우 코드화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상호 약속된 정보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HS Code의 용도는 어떤 물품을 Grouping하고 이 그룹핑에 대해 HS Code를 정의하고 관세율같은 것은 HS Code로 정의하여 처리하게 됩니다. 제조사는 생산하는 모든 물품에 대해 HS Code를 할당하고 통관시 세관에 HS Code를 알려주게 됩니다. 제품에 대해 각각 물품을 그룹핑하는 기준을 정의하고 이를 H..

모든 분야는 전문용어라는게 있지요. 물류분야도 용어가 당연히 있겠죠? 결국 용어가 있는 이유는 어떤 의미를 하나하나 그때마다 설명할 수 없으니 하나의 단어로 정의하고 쓰게 되는데 처음 그 단어를 접하는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어 있습니다. 더군다나 그 용어들이 혼재되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 그렇게 의사소통을 하게되는 것이죠. 법률, 의학, IT 등등 다 그렇습니다. 물류를 이미 아는 사람들에겐 시시콜콜한 아주 당연하고 쉬운 개념이겠으나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정리합니다. Inbound vs. Outbound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위 단어는 자기중심적인 단어입니다. 즉, 나에게 들어오는 것은 Inbound, 나로부터 나가는 것은 Outbound라고 합니다. 인/아웃바운드는 내가 어떤 한 곳에 있을때 ..

"물류"를 정의하자면 멋진말로 포장을 할 수 있겠으나 본질적으로는 재화(물건)을 보관, 이동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보관이라는 것이 중요했으나 물류 네트웍이 확장되는 이 시점에서 수배송(운송)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더군다나 물류비의 70~80%가 되는 운송비는 중요 관리대상이다. 운송은 출발지와 도착지가 있기 마련이고 요새처럼 정보시스템이 발전함으로써 반드시 필요한 정보가 지역코드인 것이다. 오늘은 UN/LOCODE에 대해 정리하겠다. - 왜 필요한가? 1. 중복되는 지명 미국의 경우로 예를 들겠다. 동일한 지명이 수두룩하게 나온다. "Bridgeport"를 보면 주(州)만 다를 뿐 이름은 동일하다. 이런 지명을 3자리로 코드화 하기 위해 누군가 중앙에서 관리하고 Unique하게 표시해야 한다. 2. 시..
어느 분야던 전문적으로 들어가면 일반사전에서 찾는 단어의 의미와 실제 의미가 완전히 다르거나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물류를 처음 배울 때 어려웠던게 그런 것들이였구요. 물류(物流)는 영어로 Logistics라고 씁니다. 사전에 찾아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답니다. Logistics〔, 〕 1. [군사] 병참술[학]; 병참 업무 2. (업무의) 세부 계획 사전에는 어디에도 "물류"라는 단어를 찾아볼 수가 없죠. 병참술?? Logistics means having the right thing, at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출처 : http://www.logisticsworld.com/logistics.htm 한마디로 "적재, 적소, 적기에 전달한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