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ATA
- TSR
- 지역코드
- 통관
- 물류
- Best Practices
- UN/LOCODE
- 수출입
- 판매물류
- Container
- TCR
- RFS
- 컨테이너
- 물류용어
- 조달물류
- Importer Security Filing
- RFID
- B/L
- 기준정보
- Bill of Lading
- CBP
- Port코드
- UNLOCODE
- 사전수입신고
- 선하증권
- logistics
- 칭다오
- TMR
- CNTR
- ISF
- Today
- Total
목록CNTR (2)
Beyond the logistics
공식적인 48ft, 53ft Container에 대한 코드는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M2GP", "P2GP"로 사용하려 합니다. 이 포스팅이 시작된 계기는 이렇습니다. 북미쪽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53ft 컨테이너 코드를 채번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업무상 기준코드를 채번해야하므로 근거없이 채번하는 것은 스스로 용납가 안되어 어떤 코드로 따야할지 근거를 열심히 뒤져봤습니다.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45ft가 가장 컸나봅니다. 컨테이너 코드에 관해서는 지난번 Container ISO code 포스팅했었죠. 그런데 위키피디아를 참조해보니 2007년 11월부터 부터 48ft, 53ft가 국제적으로 사용된다고 언급되어 있네요. '08년 4월 APL 컨테이너社에서 미국에서 사용될 Truck, Rai..

컨테이너 ISO Code 통상 해상에서 운영되는 컨테이너는 ISO 규격에 따라 운영이 됩니다. 모든 항만에서 컨테이너 트레일러가 집어내고 넣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동시 규격이 맞아야 컨테이너 트럭에 실어서 이동이 되겠지요... (당연한 거지만...) 자세한 정보는 링크를 참조하시고 간단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통상 20피트, 40피트, 40피트 하이큐빅을 많이 사용하지만 아래와 같이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컨테이너를 구분합니다. * 환산방법 " = 1 inch = 2.54cm ' = 1 foot = 12 inches = 0.3048m 1 Cubic Meter (CBM) = M3 = 1 Cubic Foot/35.3156 mm: Milli-Meter (length, width, height) 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