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UN/LOCODE
- RFID
- TCR
- IATA
- 선하증권
- 통관
- 사전수입신고
- 물류
- Port코드
- 칭다오
- 물류용어
- UNLOCODE
- 수출입
- Bill of Lading
- TSR
- 판매물류
- Best Practices
- ISF
- Importer Security Filing
- 기준정보
- TMR
- logistics
- 조달물류
- 지역코드
- CBP
- CNTR
- RFS
- 컨테이너
- B/L
- Container
- Today
- Total
목록IATA (3)
Beyond the logistics
UN/LOCODE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관련 포스팅 먼저 보시구요~ 2009/10/05 - [용어정의] - UN/LOCODE 2009-1 version release 2007/06/04 - [용어정의] - 지역코드 UNLOCODE... 코드 찾는 링크도 변경되었습니다. http://live.unece.org/cefact/locode/service/location.html 실은 해당 버전이 작년 12월에 릴리즈 되었습니다만 최근 웹사이트 리뉴얼을 했는지 기존 링크가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업데이트 하는 차원에서 포스팅하였습니다. 웹사이트 속도가 좀 더 빨라진것 같네요~ ^^; - 끝 -
블로그에 포스팅한지도 무척 시간이 지난 것 같습니다. 간단한 지식이나 용어정리하기 위해 꾸준히 포스팅해보려 했으나 역시나 쉽지 않은 일인것 같습니다. Port 코드에 대한 잡담 현재 제가 하는 일은 삼성전자에서 Global ERP T/F의 물류부분을 담당하고 있어 프로세스에 대한 시스템 반영도 관여하기도 하지만 유일하게 혼자 하는 일중 하나가 기준정보를 통제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누차 말씀드리지만 기준정보라는게 사실 티가 않나는 정보이지만 각 Transaction 정보가 누적되면서 데이터가 정보로 변할 때 대단히 중요한 키값으로 사용되므로 초기 기준정보 정의 및 추가 등 관리에 대해 많이 신경을 써야 합니다. 실제 Port 코드에 대해서도 제가 통제하고 있는데 업무 담당자들이 지명을 제대로 모르거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3/4_12_20_16_blog62287_attach_0_0.gif?original)
"물류"를 정의하자면 멋진말로 포장을 할 수 있겠으나 본질적으로는 재화(물건)을 보관, 이동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보관이라는 것이 중요했으나 물류 네트웍이 확장되는 이 시점에서 수배송(운송)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더군다나 물류비의 70~80%가 되는 운송비는 중요 관리대상이다. 운송은 출발지와 도착지가 있기 마련이고 요새처럼 정보시스템이 발전함으로써 반드시 필요한 정보가 지역코드인 것이다. 오늘은 UN/LOCODE에 대해 정리하겠다. - 왜 필요한가? 1. 중복되는 지명 미국의 경우로 예를 들겠다. 동일한 지명이 수두룩하게 나온다. "Bridgeport"를 보면 주(州)만 다를 뿐 이름은 동일하다. 이런 지명을 3자리로 코드화 하기 위해 누군가 중앙에서 관리하고 Unique하게 표시해야 한다. 2.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