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 logistics

지역코드 UNLOCODE... 본문

용어정의

지역코드 UNLOCODE...

Antony 2007. 6. 4. 13:52

"물류"를 정의하자면 멋진말로 포장을 할 수 있겠으나 본질적으로는 재화(물건)을 보관, 이동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보관이라는 것이 중요했으나 물류 네트웍이 확장되는 이 시점에서 수배송(운송)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더군다나 물류비의 70~80%가 되는 운송비는 중요 관리대상이다.

운송은 출발지와 도착지가 있기 마련이고 요새처럼 정보시스템이 발전함으로써 반드시 필요한 정보가 지역코드인 것이다. 오늘은 UN/LOCODE에 대해 정리하겠다.

- 왜 필요한가?

1. 중복되는 지명

미국의 경우로 예를 들겠다. 동일한 지명이 수두룩하게 나온다. "Bridgeport"를 보면 주(州)만 다를 뿐 이름은 동일하다. 이런 지명을 3자리로 코드화 하기 위해 누군가 중앙에서 관리하고  Unique하게 표시해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례) 중복되는 미국지역명


2. 시스템 관점의 기준정보
특정지명을 표시하는 대표코드가 있어야 시스템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문제는 물류라는 것은 혼자 할 수 없고 선사, 항공사, Forwarder 등 많은 다양한 업체들이 협업해야 하는데 어디에서 어디까지 물건을 이동하는데 있어 상호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3. 지속적인 변경 발생
또한 지명이라는 것이 한번 세팅되면 영원한것이 아니라 계속 바뀐다는 것이다. 러시아에서 독립된 여러 국가들, 홍콩에서 중국으로 반환되면서 국가가 바뀌는 문제 등...
이런 변화가 지속적으로 생기는 과정에서 누군가가 변화관리를 하지 않으면 설령 특정 시점에 모든 업체가 하나의 코드로 쓴다고 할 지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코드가 변형되어 가고 그러다보면 어느샌가 하나의 Port나 지역에 대해 다른 코드를 쓰게 되는 것이다.
실제 한국의 광양 Port만 해도 선사, Forwarder가 시스템으로 던저주는 Port Code를 검토한 적이 있는데 3가지 종류를 사용하고 있었다.


- UN/LOCODE 체계

UN/LOCODE는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을 통해 United Nations Code for Trade and Transport Locations 체계로 UN/LOCODE로 알려졌으며 '07년 기준으로 25주년이 되었다고 한다.

현재 UN/LOCODE 2006-2 버전이 Release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N/LOCODE 공식 홈페이지



* 관련 사이트 : http://www.unece.org/cefact/locode/

UN/LOCODE는 총 5자리이며 국가코드 2자리 + 지역코드 3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코드는 당연히 중복되지 않고 현재 약 55,000개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N/LOCODE 코드체계


* 2자리 국가코드 (Country Codes)는 ISO 3166-1임.

UN/LOCODE는 전 세계 도시, 주(또는 도) 단위 코드정리가 되어 있고 각 코드에는 Function이라는 기능을 통해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


- 특성 표기 방식
하나의 UNLOCODE에는 Function이라는 필드를 통해 해당 코드의 속성을 표현한다.

Function


0

Not known

1

Port function

2

Rail function

3

Road function

4

Airport

5

Postal exchange office

6

Multimodal Functions (ICDs, etc.)

7

Fixed Transport Functions (e.g. Oil platform)

B

Border crossing function


하나 샘플을 보기로 하자

Ch LOCODE Name NameWoDiacritics SubDiv Function Status Date IATA Coordinates Remarks
  KR  ICH Incheon Incheon 28 123----- AF 0507 ICN 3727N 12637E  
  KR  ICN Incheon Intl Apt/Seoul Incheon Intl Apt/Seoul 28 ---4---- AI 0501   3727N 12643E  

인천은 1,2,3 인천국제공항은 4번으로 표기되어 있다.

- 변화관리 방식

사용자 삽입 이미지

Classifiers in the Change column

특정지역이 삭제 또는 변경 등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List 가장 앞 부분에 위과 같은 Remark를 달아 변화관리를 한다.

신규로 생성된 Port나 지역이 없는 경우 아래 링크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 요청 사이트 : http://unece.unog.ch/UNLocode/


- IATA코드와 다른점

유사한 코드로 항공권에 찍히는 5자리 IATA(아이아타) 코드가 있다. 코드 체계는 국가코드 2자리 + 지역코드 3자리 체계로 UN/LOCODE와 동일하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의 IATA 코드는 공항터미널만을 코드화 한것이다. 즉, 전세계에 깔려있는 항구, 터미널 뿐만 아니라 도시지역까지 포함하지 않는다. (사실 업무 영역상 관심이 없지...)

UN/LOCODE는 IATA 코드와 매핑하는 칼럼이 존재하여 IATA와 코드와 다른 경우 별도 표시하고 있다.

관련사이트

- IATA 코드 상세 정보 : 영종의 블로그

'용어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상 화물 용어  (0) 2007.07.16
항공 화물 용어  (0) 2007.07.09
HS Code 정의 및 설명  (0) 2007.07.02
Inbound, Outbound 그리고 조달물류, 사내물류, 판매물류  (4) 2007.06.25
물류 = Logistics = 병참술 (??)  (0) 2007.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