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est Practices
- RFID
- UNLOCODE
- 칭다오
- CNTR
- B/L
- 사전수입신고
- Bill of Lading
- RFS
- 지역코드
- ISF
- 선하증권
- logistics
- CBP
- Port코드
- IATA
- Container
- 통관
- 물류
- 조달물류
- Importer Security Filing
- TSR
- 판매물류
- 컨테이너
- 수출입
- UN/LOCODE
- 기준정보
- 물류용어
- TCR
- TMR
- Today
- Total
목록지역코드 (5)
Beyond the logistics
UN/LOCODE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관련 포스팅 먼저 보시구요~ 2009/10/05 - [용어정의] - UN/LOCODE 2009-1 version release 2007/06/04 - [용어정의] - 지역코드 UNLOCODE... 코드 찾는 링크도 변경되었습니다. http://live.unece.org/cefact/locode/service/location.html 실은 해당 버전이 작년 12월에 릴리즈 되었습니다만 최근 웹사이트 리뉴얼을 했는지 기존 링크가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업데이트 하는 차원에서 포스팅하였습니다. 웹사이트 속도가 좀 더 빨라진것 같네요~ ^^; - 끝 -
제가 다니는 회사도 사람이 워낙 많다보니 동명이인이 많습니다. 부서가 다르고 지역이 다르다보니 불편한점이 그리 없지만 부서가 비슷한 경우에는 가끔 엉뚱한 메일이 날라옵니다. 메일 내용을 보고 당사자에게 다시 포워딩은 하지만 참 난감한 경우지요. 세상에 동명이인이 많은것 처럼 지명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UNLOCODE처럼 Unique한 코드체계가 나왔나 싶습니다) 한국과 같은 조그만 땅덩어리에서도 지명이 겹치는 경우가 꽤 있죠. 대표적인게 "광주"입니다. 경기도 광주와 전라도 광주. 땅덩어리가 우리보다 수십배 넓은 미국의 경우 더더욱 심합니다. 지명으로만 생각하면 엄청나겠네요. 우선 UNLOCODE를 모르시는 분은 아래 포스팅 참조하세요. 2007/06/04 - [용어정의] - 지역코드 UNLOCOD..
아래와 같은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Detail address: ******** Shops Veternik - pn 10000 Prishtinë, Kosovë Phone: +381 38 545 *** Incoterms: CIP Prishtine, Kosovo Prishtine을 찾아보니 Kosovo라는 Country가 있긴 하네요. [참조1] 내용을 보니 러시아로부터 2008년 2월 독립한 국가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ISO country code나 최신코드인 UN/LOCODE의 경우에도 Kosovo에 대해 Country code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역시 실시간으로 코드가 업데이트 되기 어려운 것인지 여러가지 문제로 아직 공식적으로 코드를 할당 못받은 것인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코드가 없네요. ..
관련 자료를 정리하던 도중 접속해봤는데 어느새 UN/LOCODE 2009-1 버전이 릴리즈 되었네요. (언제 된건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UN/LOCODE 관련 설명 기존버전이 2007-1이였는데 2008년에는 별도 릴리즈가 없었습니다. 2009-1 버전을 현재 운영시스템에 어떻게 반영해야할지 갑자기 고민되네요. 242개국 71,600개 Location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2007년 버전의 UN/LOCODE 개수를 보니 59,118개로 나오는데 만개이상 늘었네요. 분명 제가 자체 채번한 지역이 포함이 되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엑셀 2003버전으로도 오픈하긴 어렵겠네요. 라인수가 65000라인이 넘어가서~ ㅠ_ㅠ 나중에 시간 있을때 어떻게 2007버전+자체생성코드를 마이그레이션 할지..

"물류"를 정의하자면 멋진말로 포장을 할 수 있겠으나 본질적으로는 재화(물건)을 보관, 이동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보관이라는 것이 중요했으나 물류 네트웍이 확장되는 이 시점에서 수배송(운송)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더군다나 물류비의 70~80%가 되는 운송비는 중요 관리대상이다. 운송은 출발지와 도착지가 있기 마련이고 요새처럼 정보시스템이 발전함으로써 반드시 필요한 정보가 지역코드인 것이다. 오늘은 UN/LOCODE에 대해 정리하겠다. - 왜 필요한가? 1. 중복되는 지명 미국의 경우로 예를 들겠다. 동일한 지명이 수두룩하게 나온다. "Bridgeport"를 보면 주(州)만 다를 뿐 이름은 동일하다. 이런 지명을 3자리로 코드화 하기 위해 누군가 중앙에서 관리하고 Unique하게 표시해야 한다. 2.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