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ort코드
- TCR
- RFS
- Bill of Lading
- UN/LOCODE
- 수출입
- 판매물류
- RFID
- TMR
- 칭다오
- 지역코드
- 물류용어
- IATA
- 컨테이너
- B/L
- 조달물류
- Best Practices
- ISF
- 선하증권
- CNTR
- CBP
- 사전수입신고
- TSR
- 물류
- UNLOCODE
- Importer Security Filing
- Container
- logistics
- 기준정보
- 통관
- Today
- Total
Beyond the logistics
Inbound, Outbound 그리고 조달물류, 사내물류, 판매물류 본문
모든 분야는 전문용어라는게 있지요. 물류분야도 용어가 당연히 있겠죠?
결국 용어가 있는 이유는 어떤 의미를 하나하나 그때마다 설명할 수 없으니 하나의 단어로 정의하고 쓰게 되는데 처음 그 단어를 접하는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어 있습니다.
더군다나 그 용어들이 혼재되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 그렇게 의사소통을 하게되는 것이죠. 법률, 의학, IT 등등 다 그렇습니다. 물류를 이미 아는 사람들에겐 시시콜콜한 아주 당연하고 쉬운 개념이겠으나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정리합니다.
Inbound vs. Outbound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위 단어는 자기중심적인 단어입니다. 즉, 나에게 들어오는 것은 Inbound, 나로부터 나가는 것은 Outbound라고 합니다.
인/아웃바운드는 내가 어떤 한 곳에 있을때 적용가능한 용어지요.
예를 들자면 내가 공장에 근무하면 들어오는 자재는 Inbound, 생산된 제품이 출고되는 것을 Outbound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공장에서 물류센터로 보내지는 것은 공장에서 볼때 Outbound지요. 그럼 물류센터에서는 이걸 Outbound 물류라고 해야할까요? 아니죠~~ 물류센터(DC:Distribution Center)에서는 Inbound 물류가 되겠죠?
그러니까 동일한 영역을 가지고 공장쪽에서는 Outbound 물류, 물류센터쪽에서는 Inbound 물류가 되는것이지요.
그럼 좀 더 거시적으로 내가 어떤 한쪽에 속하지 않고 이 영역을 구분하려면 어떻게 불러야 할까요?? 그래서 아래와 같은 용어를 붙어 말하곤 합니다.
조달물류 vs. 사내물류 vs. 판매물류

조달물류, 사내물류, 판매물류 영역
즉, 어떤 물건을 받기위한 것, 통상 자재나 상품이 들어오는 것을 조달물류라고 합니다.
물류센터가 CDC(Centeral Distiribution Center)에서 지방물류센터(RDC : Regional DC)로 이동하는 경우는?? 이런경우 사내물류라고 부르지요. 최종적으로 거래선이나 소비자에게 제품이 팔려 나가는 것을 판매물류라고 합니다.
영문으로 쓰면 아래와 같이 쓸껍니다.
- 조달물류(Inbound Logistics)
- 사내물류(Inter-company Logistics)
- 판매물류(Outbound Logistics)
위 3 영역은 물류특성이 조금 다릅니다. 가장 큰 이유는 Delivery Point가 다르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위 영역에 대해 다음기회에 하나씩 풀어서 설명을 붙여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추가)
* 참조
SCM의 구조를 표현한 그림들은 보면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상위 공급업체까지는 inbound logistics, 하위 최종소비자까지는 outbound logistics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조달물류와 유통물류를 말하는 것으로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원자재의 흐름을 inbound, 완제품의 흐름을 outbound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여기서 in 또는 out은 제조업체 중심의 물류흐름 또는 완제품 생산시점에 따른 구분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과거 생산업체가 생산뿐아니라 유통 및 판매의 중심에서 모든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점차 유통업체로 이러한 능력과 기능이 상당부분 이전되어가고 있으므로 이제 조만간 바뀌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어디까지나 사견입니다.^^;). 암튼 각 SC구성원 중심으로 보면 물류의 흐름을 inbound, interal, outbound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용어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상 화물 용어 (0) | 2007.07.16 |
---|---|
항공 화물 용어 (0) | 2007.07.09 |
HS Code 정의 및 설명 (0) | 2007.07.02 |
지역코드 UNLOCODE... (0) | 2007.06.04 |
물류 = Logistics = 병참술 (??) (0) | 2007.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