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 logistics

48ft, 53ft Container의 ISO 코드는 뭘까요? 본문

용어정의

48ft, 53ft Container의 ISO 코드는 뭘까요?

Antony 2009. 6. 15. 08:32
공식적인 48ft, 53ft Container에 대한 코드는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M2GP", "P2GP"로 사용하려 합니다.


이 포스팅이 시작된 계기는 이렇습니다. 

북미쪽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53ft 컨테이너 코드를 채번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업무상 기준코드를 채번해야하므로 근거없이 채번하는 것은 스스로 용납가 안되어 어떤 코드로 따야할지 근거를 열심히 뒤져봤습니다.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45ft가 가장 컸나봅니다. 컨테이너 코드에 관해서는 지난번 Container ISO code 포스팅했었죠.

그런데 위키피디아를 참조해보니 2007년 11월부터 부터 48ft, 53ft가 국제적으로 사용된다고 언급되어 있네요. '08년 4월 APL 컨테이너社에서 미국에서 사용될 Truck, Rail用으로 살짝 다른 규격의 컨테이너도 만들었다고 합니다.

구글신에 물어봤는데 역시 답이 없으시더군요. 그나마 clue를 찾아서 꼬리에 꼬리를 물고(링크에 링크를 물고) 찾아들어간게 아래 사이트입니다. 이름하여, "Container Handbook"

컨테이너 Length별 Code


링크 : http://www.containerhandbuch.de/chb_e/stra/index.html?/chb_e/stra/stra_03_03_00.html

미국에서 53ft, 57ft까지도 사용되는게 우선 확인되었습니다...


ISO사이트에서 ISO 6346을 서치해보니 1995년에 업데이트되었네요. 위의 히스토리 정보를 근거로 예측해보건데 결론적으로 53ft에 대해 ISO공식 코드는 없다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ISO 코드가 없음이 확인되었으므로 어쩔수 없이 임의로 채번해야 하는데 ISO코드와 유사하게 채번해야겠다는 결론을 냈습니다. 그리하여, Container ISO code 구조를 보니 앞으로 만들어질 ISO 코드를 대충 예상할 수 있겠더군요.

제가 채번하려는 53ft Container는 아래와 같습니다.

  • Length, 53 feet
  • Width, 8.5 feet (102")
  • Height, 10 feet (120")

ISO 코드 채번룰은 아래와 같습니다.

  • First character, representing the length (coded)
  • Second character, representing the width and height (coded)
  • Third and fourth character indicating the type of the container

첫번째 코드는 Length에 대한 코드, 두번째 코드는 width and height에 대한 코드, 세네번째는 특징을 나타내는군요.

  • 1 digit : Length 53ft = 16,154 mm이므로 "P"
  • 2 digit : Width  8.5 feet = 2,590 mm으로 "2"
  • 3,4 digit : General Purpose "GP"

즉, 53ft Container의 코드는 "P2GP"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M2GP"의 경우도 동일한 계산법에 의해 정의하였습니다.

의견 주실분!!!! 답글 부탁드립니다.


'용어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LOCODE 2010-2 버전 릴리즈 (지역코드)  (1) 2011.07.07
UN/LOCODE 2009-1 version release  (0) 2009.10.05
화주(貨主) vs. 하주(荷主) 차이점  (0) 2009.04.23
공항 코드 IATA, ICAO 고찰  (2) 2009.01.31
Risk Pooling 개념  (6) 2008.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