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 logistics

화주(貨主) vs. 하주(荷主) 차이점 본문

용어정의

화주(貨主) vs. 하주(荷主) 차이점

Antony 2009. 4. 23. 02:04
화물(貨物)을 하물(荷物)이라고 쓰는 것도 마찬가지로 일본 표현입니다. 일본에서는 화물을 "니모츠(荷物)"라고 쓰는데 그 한자표기를 우리식으로 읽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즉, 일본말로 혼동이 되는 문제인데 실제 현장에서는 여전히 하주로 부르기 때문에 혼란스러운 것 같습니다. 아래는 물류신문에서 언급된 화주와 하주의 차이점을 옮겨 담았습니다.


‘하주(荷主)’ :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해 꾸려 놓은 물건인 하물(荷物)의 주인을 일컫음. (일본에서 건너옴)

‘화주(貨主)’ : 운반할 수 있는 유형의 재화나 물품을 통틀어 이르는 화물(貨物)의 임자를 가리킴.

북한에서는 ‘짐주인’으로 부르는데 어쨌든 개념상 ‘하주’보다는 ‘화주’의 폭이 더 넓은 셈이다.

해운, 항만하역, 포워딩 업계에서는 아직 ‘하주’라는 단어를 더 친숙하게 여긴다. 얼마 전 한국무역협회 국제물류하주지원단 관계자는 오랫동안 써온 ‘하주’ 대신 ‘화주’로 명칭을 변경할 의사가 있다며 물류 언론에서도 기사 작성시 ‘화주’라는 용어로 통일하는 게 어떻겠냐는 의견을 보내왔다.

'용어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LOCODE 2009-1 version release  (0) 2009.10.05
48ft, 53ft Container의 ISO 코드는 뭘까요?  (1) 2009.06.15
공항 코드 IATA, ICAO 고찰  (2) 2009.01.31
Risk Pooling 개념  (6) 2008.06.29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 정의  (0) 2008.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