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 logistics

Risk Pooling 개념 본문

용어정의

Risk Pooling 개념

Antony 2008. 6. 29. 21:45

Risk Pooling의 4가지 종류

1) Location Pooling
- 개요 : 기존에는 DC에서 여러개 Sector로 이동하나 여러 Sector를 한곳으로 모음
- 강점 : 불확실성 줄임. 통계적으로 안전재고레벨을 줄일 수 있고 서비스 레벨 강화
- 단점 : 원거리 경우 Demand 대응 어려움. Virtual Pooling, Drop Shipping 어려움
예제) CDC 운영
 

2) Product Pooling
- 개요 : 제품의 다양성은 중요하나 가능하면 최소화, 공통화하여 불확실성을 줄임
- 강점 : 수요의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일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급과 수요에 대해 좀더 좋은 Performance를 수행할 수 있음
예제) O'neill의 dive wetsuits와 surf wetsuits 브랜드 통합
 

3) Lead Time Pooling
- Consolidated distribution
각각 store에 재고를 두게 되면 부족할수도 있고 과다하게 남을수도 있음.
예제) CDC를 Store근처에 재고를 Pooling하므로써 리스크 감소

- Delayed Differentiation
가공이 가능한 중간제품을 생산하여 수요에 대응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므로서 수요에 대한 Risk를 줄이는 방식
예제) 베네통 : 필요할때 염색하여 수요에 맞춰 공급함.
 

4) Capacity Pooling
- 개요 : 제조공정과 관계된 문제로 생산상의 체제에 대해 유연성을 높여 특정 기계가 다중 기능을 제공하여 Risk 줄임
예제) 제조공정, 생산시설에 대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변경


ㅁ 전통적 재고관리와 차이점

  • 제품자체 Focusing이 아닌 공급망, 제조 프로세스, 제품을 제설계함.
  • 이를 통해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음
  • 회사는 불확실성을 줄일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설수 있음.


 

'용어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주(貨主) vs. 하주(荷主) 차이점  (0) 2009.04.23
공항 코드 IATA, ICAO 고찰  (2) 2009.01.31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 정의  (0) 2008.01.07
Container ISO Code  (1) 2007.12.04
해상 화물 용어  (0) 2007.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