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UNLOCODE
- Bill of Lading
- UN/LOCODE
- TSR
- 물류용어
- logistics
- 통관
- Container
- Best Practices
- ISF
- Port코드
- B/L
- IATA
- RFID
- 수출입
- TCR
- 조달물류
- 판매물류
- 사전수입신고
- Importer Security Filing
- CBP
- 컨테이너
- 선하증권
- CNTR
- 지역코드
- TMR
- 물류
- 기준정보
- 칭다오
- RFS
- Today
- Total
Beyond the logistics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 정의 본문
원래 物流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들어온 용어입니다. 1960년대 미국에서 일본으로 'Physical Distribution'이라는 용어가 전해졌고, 다시 우리나라로 도입되는 과정에서 물적유통이라고 번역되어 이후 물류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1. 협의의 물류와 광의의 물류에 관한 비교 설명
1) 협의의 물류
협의의 물류에 대한 개념체계는 1940년대 미국에서 처음 내려졌습니다. 물류란 "재화를 생산점으로부터 소비 또는 이용점까지 이동하고 취급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즉 협의의 물류라 함은 현재 광의의 물류, 즉 Logistics의 유통활동의 일부분에 국한되는 것이지요.
2) 광의의 물류
협의의 물류에서 한단계 확장하여 1960년대 미국에서 정의된 것으로서, 물적유통이란 "생산라인의 종단에서 완제품을 능률적으로 소비자에게 이동시키고 또한 경우에 따라 원자재를 공급으로부터 생산라인의 시작점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 광범위한 활동이며, 이러한 활동을 화물운송, 보관, 하역, 시장예측 및 고객서비스를 포함한 활동으로 규정지음으로써 현재의 물류의 개념이 시작된 것입니다. 현재 물류의 분야를 분류하자면 보관, 하역, 화물운송, 포장, 물류정보, 폐기 및 회수 물류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3) 둘의 비교
협의의 물류란 광의의 개념중 화물운송의 일부분에만 국한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물류를 협의의 물류로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는 것이지요. 그러나 우리나라 대다수의 사람이 생각하길 물류를 협의의 물류로만 단정짓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부 CJ Logistics나 한진택배, 대한통운 등의 대기업에선 광의의 물류에 적합한 대응을 하고 있지만 이것은 극히 일부이고, 대다수의 기업은 아직도 단순한 협의의 물류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 또한 시원치 않은 실정입니다.
2. 물류 코스트 현상에 대한 대책과 물류비 통계
1) 물류비 현상과 통계
물류비 10%의 절감은 매출액 30% 증대와 맞먹는 효과를 발생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기업에 있어 물류비 절감은 기업의 생존과도 관련된다고 할 수 있죠. 하지만 현재 우리 나라의 기업에 있어 물류비를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최근들어 그 중요성을 절감하고 삼자물류(Third Party Logistics)업체에 물류분야를 맡긴다든지 물류비 절감대책을 마련하고 있지요. 현재 우리나라 기업들의 물류비 실태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실정이구요.
자세한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autop.tnut.ac.kr/2002years.htm 실태자료
http://www.korcham.net/profile/file/2-2002.hwp 02년 기준 기업 물류비 통계자료
2) 대책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각 기업이 처한 환경이나 취급하는 품목등에 따라 그 대책 또한 천차만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뭐라고 단정지어 대책을 내세울 순 없습니다.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대책으로는 뭐니뭐니 해도 운송수단의 다변화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우리 나라 기업들이 사용하는 운송수단은 공로, 즉 차량을 이용한 운송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도심 및 경부, 경인 고속도로의 지체가 발생하고, 또한 혼잡비용도 매년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지요. 그리고 이로 인해 또다시 운송 비용이 상승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번 화물연대 파업때처럼 공로가 마비될 경우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물류비가 상승하여 기업의 물류비 절감 노력의 발목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로운송을 대체하는 수단으로는 먼저 철도운송을 들 수 있습니다.
현재 경부선을 이용하여 운송되는 화물은 극히 미미한 실정입니다. 이는 경부선이 여객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도 빠듯한 실정이기에 그러한 것이구요, 따라서 화물 열차는 여객 운송이 뜸한 심야 시간에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경부 고속철도 1단계가 개통되었는데요. 2단계까지 개통이 될 경우 상당부분 여객 수요를 고속철 전용선이 담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 선로는 화물 위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속철 2단계가 완성되는 시점에는 철도 운송량이 늘어날 것이고 이에 따라 철도 운송 의존율도 높여 나가야 할 것입니다.
두번째로, 연안해송을 들 수 있습니다.
해운운송은 공로운송이나 철도운송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울에서 부산항까지의 컨테이너 운송의 경우 인천항에서 부산항까지 운행하는 연안해운선을 이용하는 것도 훌륭안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설탕이나 곡물과 같은 벌크화물의 경우 연안해송을 이용할 경우 엄청난 비용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제가 대책으로 적은 것은 운송 측면에서만 고려한 것입니다. 전체적 측면으로 하자면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관리)이나 JIT2(Just In Time 2, 적시공급)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우리 나라 현실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대안을 적었습니다.
* 참조 사이트 : 네이버
'용어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항 코드 IATA, ICAO 고찰 (2) | 2009.01.31 |
---|---|
Risk Pooling 개념 (6) | 2008.06.29 |
Container ISO Code (1) | 2007.12.04 |
해상 화물 용어 (0) | 2007.07.16 |
항공 화물 용어 (0) | 2007.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