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물류용어
- 지역코드
- B/L
- ISF
- logistics
- TSR
- Container
- UN/LOCODE
- 판매물류
- CBP
- 수출입
- 물류
- Importer Security Filing
- RFID
- RFS
- Best Practices
- 통관
- 컨테이너
- Port코드
- 선하증권
- 기준정보
- 사전수입신고
- UNLOCODE
- TMR
- CNTR
- TCR
- 조달물류
- Bill of Lading
- IATA
- 칭다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2)
Beyond the logistics
글쎄요... 해당 기사 제목이 상당히 자극적인것 같은데... 어쨌던 이미 5년이나 지나버린 이야기가 되어버렸습니다. 물런 현재도 1C1B 전략은 유효하며 지속적으로 진행중입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물류" 조직 및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아웃소싱은 좋지만 곳간에 열쇠를 맡겨둔 이상 물건을 빼돌리지 않는지, 화주 말을 잘 듣는지, 부당하게 돈을 청구하지 않는지 관리, 즉 Monitoring이 필요하겠죠. 최근 Monitoring을 위해 많은 투자,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Global하게 Monitoring한다는 것이 쉽진 않습니다... * 참고 : 아래 기사는 오픈된 기사이므로 포스팅해도 되겠죠...(대외비 아니니까...) 한국경제 2002년 4월 21일 기사 삼성전자의 물류시스템은 국내와 해외..

프로세스로 시스템을 디자인 하는 것이 맞지만 프로세스를 알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시스템이란 것은 일반적인 프로세스를 녹여둔 프로그램이므로 이를 이해하면 어느정도 프로세스에 대한 감을 잡을 수 는 있습니다. (하지만 현업에 있다보니 시스템에 없는 많은 이슈들이 있더군요...) 실행개념의 물류로 범위를 조금 좁혀보면 "Execution"의 TMS, WMS, OMS 그리고 Visibility가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i2 솔루션 그림으로 i2에는 WMS가 없으므로 표기가 되어 있지 않네요. 시간이 되면 여기 있는 하나하나에 대해 어떤 기능인지 간략히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참조 : http://www.i2.com/industries/HT/index.cfm http://www.i2.c..

건설교통부에 의하면 중국 칭다오에서 한국 인천항으로 트럭 복합 일관 운송 제도, 즉 RFS를 시행한다고 공지하였습니다. 중국, 한국이 단기적으로 윈윈했다고 봅니다. 중국은 이미 세계의 생산기지가 되었습니다만 적기에 운송을 하기 위한 비행기가 이미 부족한 상태입니다. 세계적으로 항공기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중국에서 만드는 여러 제품들이 적기에 실리지 못해 배송에 큰 어려움이 있습니다. 물런 제가 일하는 회사에서도 그런 일이 빈번히 일어나서 고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한 기업이 해결하기에는 어려운 일이죠. 어쨌던, 그런 Bottle-neck을 풀어주는 방법으로 이번 한중 RFS를 시행하게 되었나봅니다. 인천국제공항은 동아시아 물류 허브를 꿈꾸고 있는데 이번 한중 RFS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 A ] Agreement 협정 : 동맹과 같은 운임, 서비스 등에 대해서 복수의 선사가 Cartel을 행하는 조직. 동맹에 비교해카르텔의 지배력은 약하다고 하지만, 명확히 구별할 규정은 없다. ANERA Asia North America Eastbound Rate Agreement : 동남아시아, 극동~북미 운임협정. 관할 주요국은 NIES 4개국 및 중국, 타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99년 4 월말 이후 휴면 [ B ] BAF Bunker Adjustment Factor : Bunker Surcharge라고도 한다. 연비의 상승이나 하락시 부가 할증, 할인 요금 Berth Term : 선적지, 양륙지에서의 선적 및 하역비를 운송인이 부담하는 조건. 정기항로에서 는 거의 이 운임 조..
[A] ABC Air Cargo Guide ( ABC ) : 국제 항공화물 스케줄 및 운임과 기타 화물관련 정보가 수록된 월간지. ABC World Airways Guide ( ABC ) : ABC Air Cargo Guide와 자매편으로 런던의 ABC Travel Guide사에서 발행하는 월간지로 주요 내용은 각 항공사명및주소,시각표,City Code, Mileage, 운임, 노선 등이 수록되어 있음. Accessories : 어떤 물품에 있어서 없어서는 작동이 되지 않는 물건이나 반드시 있어야 하는 물건을 제외한 추가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을 가리킨다. ACL ( Allowable Cabin Load ) : 탑재허용중량으로 Payload Limit라고 부르기도 함. 항공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HS Code란? 예를 들어보죠. 노트북이 있습니다. 제조사도 다르고 모델군도 너무 많습니다. 국가에서는 통관이나 관세처리를 위해 노트북에는 관세가 얼마다라고 정의해야 합니다. 판매, 매입하는 회사가 다르다면 제품코드에 일일히 관세를 정의할 수가 없죠. 특히나 요새처럼 시스템으로 여러 작업을 하는 경우 코드화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상호 약속된 정보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HS Code의 용도는 어떤 물품을 Grouping하고 이 그룹핑에 대해 HS Code를 정의하고 관세율같은 것은 HS Code로 정의하여 처리하게 됩니다. 제조사는 생산하는 모든 물품에 대해 HS Code를 할당하고 통관시 세관에 HS Code를 알려주게 됩니다. 제품에 대해 각각 물품을 그룹핑하는 기준을 정의하고 이를 H..
Manhattan Associates는 WMS 솔루션 전문회사였으나 RFID가 나오면서 Middle Ware, Reader기, RFID 태그 등 나름대로 RFID시장에서 Leader역할을 하는 회사이다. Manhattan Associates 미국 Atlanta에 본사를 둔 Manhattan Associates는 Supply Chain Execution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로서 SCM 최적화 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현재 영국 일본 등 전세계에 걸쳐 튼튼한 영업과 서비스 조직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창고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선두기업이었던 Manhattan Associates는 RFID 미들웨어 시장에서도 부각을 나타내어, 리더기 통합, 데이터 필터링, EPC track-and-trace 툴..

모든 분야는 전문용어라는게 있지요. 물류분야도 용어가 당연히 있겠죠? 결국 용어가 있는 이유는 어떤 의미를 하나하나 그때마다 설명할 수 없으니 하나의 단어로 정의하고 쓰게 되는데 처음 그 단어를 접하는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어 있습니다. 더군다나 그 용어들이 혼재되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 그렇게 의사소통을 하게되는 것이죠. 법률, 의학, IT 등등 다 그렇습니다. 물류를 이미 아는 사람들에겐 시시콜콜한 아주 당연하고 쉬운 개념이겠으나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정리합니다. Inbound vs. Outbound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위 단어는 자기중심적인 단어입니다. 즉, 나에게 들어오는 것은 Inbound, 나로부터 나가는 것은 Outbound라고 합니다. 인/아웃바운드는 내가 어떤 한 곳에 있을때 ..

"물류"를 정의하자면 멋진말로 포장을 할 수 있겠으나 본질적으로는 재화(물건)을 보관, 이동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보관이라는 것이 중요했으나 물류 네트웍이 확장되는 이 시점에서 수배송(운송)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더군다나 물류비의 70~80%가 되는 운송비는 중요 관리대상이다. 운송은 출발지와 도착지가 있기 마련이고 요새처럼 정보시스템이 발전함으로써 반드시 필요한 정보가 지역코드인 것이다. 오늘은 UN/LOCODE에 대해 정리하겠다. - 왜 필요한가? 1. 중복되는 지명 미국의 경우로 예를 들겠다. 동일한 지명이 수두룩하게 나온다. "Bridgeport"를 보면 주(州)만 다를 뿐 이름은 동일하다. 이런 지명을 3자리로 코드화 하기 위해 누군가 중앙에서 관리하고 Unique하게 표시해야 한다. 2. 시..

아주 오래전부터 논의된 TKR, TSR 연계...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진행이 어려웠으나 최근 다시 열심히 논의되고 있는듯하다. 제대로 연계만 된다면 일본 -> 부산 -> 평양 -> 모스크바 -> 유럽까지 연계되는 꿈의 실크로드가 다시 뚤리게 되는데... 현재 한국에서 네델란드 노틀담까지 배로 약 40일... 1TEU (20피트 컨테이너) 2,000불정도 되는데 위 철도망이 완성된다면 모스크바까지 약 12일... 유럽까지 나가도 20일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이 경우 대한민국이 물류의 허브가 되는데 영향을 줄듯하다. 경제적 가치 또한 충분할듯... ㅁ 관련기사 한ㆍ러 나진항 물류거점 개발되면 부산~나진~모스크바 12일로 단축대륙철도 연결 '철의 실크로드' 열린다 TKR과 TSR의 딜레마한반도, 해양 ~..
어느 분야던 전문적으로 들어가면 일반사전에서 찾는 단어의 의미와 실제 의미가 완전히 다르거나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물류를 처음 배울 때 어려웠던게 그런 것들이였구요. 물류(物流)는 영어로 Logistics라고 씁니다. 사전에 찾아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답니다. Logistics〔, 〕 1. [군사] 병참술[학]; 병참 업무 2. (업무의) 세부 계획 사전에는 어디에도 "물류"라는 단어를 찾아볼 수가 없죠. 병참술?? Logistics means having the right thing, at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출처 : http://www.logisticsworld.com/logistics.htm 한마디로 "적재, 적소, 적기에 전달한다" 입니다...
정말 너무나도 많은 지식이 네이버 지식in 서비스에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질문을 올리고 다양한 전문가, 비전문가들은 이곳에 답을 올려놓죠. 실제 개인적으로 나도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문제는 물류나 SCM처럼 약간 한단계 전문적으로 치고 내려가면 의외로 정보가 없다는 것이죠. 이는 누구를 탓할껀 아닌것 같고... 물류에 대한 질문이 없으니 답도 없을 테고 또 정리도 잘 안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과연 내가 물류 전문가인가?? 물류라는게 너무 광범위 하므로 내가 물류를 다 안다고 할 수 없지만 지난 몇년간 물류바닥에서 굴러 먹었기 때문에 전문가라고 말해야겠죠?? 전문가가 아니라고 하면 내 스스로 또 회사에 미안해야 하고...월급 받으면 안되겠죠. 어쨌던 저 스스로 계속 진화할꺼고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