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 logistics

국가 물류비 현황 ('04년 기준) 본문

수배송

국가 물류비 현황 ('04년 기준)

Antony 2008. 1. 15. 20:08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04년 국가 물류비는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현재 '04년 국가 물류비 정보밖에 없네요... 오늘이 '08년인데 최소한 '06년은 있어야하는거 아닌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04년 국가 물류비 (※출처 : 한국교통연구원)


“2004년도 물류활동으로 인한 국가차원의 부가가치 창출 59조 20억원”

  • 한국교통연구원(원장:강재홍)은 2004년도 한해동안 우리나라의 수송.보관.하역.포장.정보 등 물류활동에 사용된 총경비인 국가물류비를 산정, 발표하였다.
  • 2004년도 우리나라의 운송.보관.하역.포장.정보 등 물류활동에 소요된 국가물류비는 총92조 4,590억원으로 전년도 90조 3,450억원보다 2.3%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GDP의 11.9%에 해당되며, ’03년도의 12.5%에 비해 0.6% 감소한 수치이다.

※ 국제화물수송비 포함 시 123조 2,830억원으로 '03년 112조 1,600억원보다 9.9% 증가하였으며, GDP대비비중은 15.8%로 ’03년도의 15.5%에 비해 0.3% 증가함.


요약하면 물류비는 '00년 13.3% -> 11.9%로 비율은 줄었으나 금액비중으로 약 20%가 증가하였습니다. Global 시장이 확산되면서 앞으로 더더욱 증가하리라 예상됩니다.

통상 물류비중 운송비는 약 70~80%를 차지합니다. 결국 운송을 어떻게 효율화 정도에 따라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있다는 것이죠. 이를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전략적(Strategy) 고려 요소 : 거점 최적화 (Network Optimization), 수요예측 및 분배 (Forecasting and Distribution = APS, SCM Planning) 등
  • 운영적(Operational) 고려 요소 : 수배송 계획 최적화(Transporation Management System), 재고배치 최적화(ABC 분석 및 Stock reallocation), 작업자 동선관리 등


내용이 좀 빈약하네요. ㅡㅡ;

교과서를 뒤지면 위 내용외에도 많은 내용이 있겠지만... 뭐랄까요... 교과서와 같이 작성하고 싶지 않아 생각나는대로 적어봤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