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수출입
- 선하증권
- 통관
- Container
- RFS
- 조달물류
- 컨테이너
- Port코드
- 칭다오
- CNTR
- 기준정보
- 지역코드
- Best Practices
- 사전수입신고
- Bill of Lading
- 물류
- Importer Security Filing
- UNLOCODE
- TCR
- TMR
- 물류용어
- B/L
- logistics
- ISF
- TSR
- IATA
- RFID
- CBP
- 판매물류
- UN/LOCOD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사내물류 (1)
Beyond the logistics

모든 분야는 전문용어라는게 있지요. 물류분야도 용어가 당연히 있겠죠? 결국 용어가 있는 이유는 어떤 의미를 하나하나 그때마다 설명할 수 없으니 하나의 단어로 정의하고 쓰게 되는데 처음 그 단어를 접하는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어 있습니다. 더군다나 그 용어들이 혼재되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 그렇게 의사소통을 하게되는 것이죠. 법률, 의학, IT 등등 다 그렇습니다. 물류를 이미 아는 사람들에겐 시시콜콜한 아주 당연하고 쉬운 개념이겠으나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정리합니다. Inbound vs. Outbound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위 단어는 자기중심적인 단어입니다. 즉, 나에게 들어오는 것은 Inbound, 나로부터 나가는 것은 Outbound라고 합니다. 인/아웃바운드는 내가 어떤 한 곳에 있을때 ..
용어정의
2007. 6. 25. 08:00